* 아파치(Apache) Virtual Host란?
웹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Host -> Main Host
Main Host 외에 별도의 디렉토리를 가진 여러개의 Host -> Virtual Host
=> vhost를 이용하여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서비스 할 수 있게 됨
1) Name-based Virtual Host(이름 기반의 가상호스트)
하나의 IP 주소 당 여러 이름을 가지는 방식(가장 보편적)
2) IP-based Virtual Host(IP 기반의 가상호스트)
각 웹 사이트마다 다른 IP 주소 또는 Port를 가지는 방식
- IP 주소를 다르게 하는 방식
- Port를 다르게 하는 방식
* vhost 설정하기(mac OS 기준)
- 아파치 실행 명렁어
sudo apachectl start
- 아파치 재시작 명령어
sudo apachectl restart(graceful)
- httpd.conf 파일 수정하기
아파치 환경 설정 파일에서 주석 해제하기(/private/etc/apache2/ 폴더의 httpd.conf 파일)
...
# Virtual hosts
# 아래 부분 주석 해제
Include /priavet/etc/apache2/extra.httpd-vhosts.conf
...
-> /private/etc/apache2/extra/ 폴더에 있는 httpd-vhosts.conf 파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됨
- httpd-vhosts.conf 파일 수정하기
가상 호스트에 대한 설정을 위한 내용 추가하기(/private/etc/apache2/extra/ 폴더의 httpd-vhosts.conf 파일)
<Virtual Host *:80> # port 번호 다르게 설정해도 무관!
DocumentRoot "/Users/username/user-sites"
ServerName www.user-domain.com # www 어쩌고저쩌고 안해도 무관!
ErrorLog "/private/var/log/apache2/www.user-domain.com-error_log" # 에러 확인용 없어도 무관!
<Directory "/Users/username/user-sites">
AllowOverride None
Require all granted
</Directory>
</VirtualHost>
- host 파일 수정하기
만들어준 사이트에 로컬 접속을 하기 위해 hosts 파일에 추가하기(/private/etc/ 폴더의 hosts 파일)
127.0.0.1 www.user-domain.com
- 접근거부(403 Forbidden) 메시지가 떴을 경우(코드 확인 후 내용 수정할 부분)
1) 각 파일과 디렉토리 접근 권한 확인하기 -> 755로 변경
2) httpd-vhosts.conf 파일의 <Directory> 태그 안 코드 추가 or 삭제 해보기
'etc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사용법 정리 (0) | 2024.11.04 |
---|---|
Google Search Console API (0) | 2020.12.24 |
Google API 사용자 인증 (0) | 2020.12.24 |
APM, Composer (0) | 2020.09.27 |